시민 중심 · 현장 중심
안전한 서울, 질서있는 서울
자세히보기

우리동네 경찰서/우리동네 경찰서

형사? 순경? 경찰 계급, 그것이 궁금해!!

서울경찰 2014. 6. 2. 14:06

 

 

 

#1 살인사건 현장 주변에는 언제나 제복을 입은 경찰관이 서 있고, 제복 입은 경찰관의 경례를 받으며 사건 현장에 들어오는 형사!!

 

#2 어느 아이들의 대화

 

     "우리 아빠는 경찰서장이야?"

 

     "우리 삼촌은 형사거든!!!"

 

     "그래! 쩝~"

 

  형사가 높은 사람인가요???

 

  많은 분들이 경찰 계급에 관해 이야기할 때면 하는 질문 중에 하나가 "형사가 계급입니까?"라는 질문입니다.^^

 

  경찰 계급에 관한 궁금한 이야기!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경찰관은 계급이 있습니다.

 

  정복은 물론 사복을 입고 근무하는 모든 경찰관은 계급이 있습니다.

 

  경찰 계급은 총 12단계로 구분돼 있고, 계급장의 표시는 국화인 무궁화로 되어 있습니다.

 

  계급장이 단일 꽃으로만 되어 있는 나라는 아마도 우리나라가 유일한 것 같습니다.

 

  (전 세계 모든 경찰을 조사한 것은 아닙니다.ㅠㅠ)

 

 

 

 

  의경부터 경사까지는 무궁화가 피기 전 꽃봉오리의 개수로 계급을 표시하고

 

  경위부터 총경까지는 활짝 핀 무궁화의 숫자로, 경무관부터 치안총감은 다섯 송이 무궁화 다발의 숫자로 계급을 표시합니다.

 

  경찰 계급은 1945년 해방 이후 지금까지 모두 11차례에 걸쳐 조금씩 변화했습니다.

 

  지금의 경찰 계급인 12계급(의경 포함)은 1983년에 의무경찰이 신설되어 기존의 순경이 달고 있던 계급장을 이어받고 순경은 기존에 경장이 달고 있던 무궁화 봉오리 2개를 달게 되었습니다.

 

  의무경찰제도는 군복무를 위한 병역제도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제도로서, 의무경찰(이하 의경)은 정식 경찰관의 계급은 아닙니다. 순경부터 정식 경찰관에 해당하지만 의경도 경찰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에 소개합니다.

 

 

  1945년 당시 계급을 보면, 일본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순사(순경), 순사부장(경사), 경부보(경위), 경부(경감), 경시(경정 혹은 총경), 도경찰부장(경무관), 경무부장(치안총감)

 

  이후 1969년 까지 경장, 경정, 치안감의 계급이 새롭게 생겼고,

 

  1980년 치안정감 계급이 생겨 11계급, 1983년에 의무경찰제 도입으로 의경 계급까지 지금의 12계급으로 되어 있습니다.

 

 

 

 

  경찰공무원은 계급과는 별개로 각자의 경과를 부여받게 됩니다.

 

  경찰공무원 임용령에 따르면 총경 이하의 경찰공무원은 경과에 따라

 

  ① 일반경과, ② 수사경과, ③ 보안경과, ④ 특수경과(해양경과, 운전경과, 항공경과, 정보통신경과)를 부여받습니다.

 

  특히, 수사경과는 지난 2005년 수사 전문인력 양성 차원에서 형사, 지능, 과학수사, 여성 · 청소년, 교통조사 등의 분야를 하나로 묶어 일반 경찰과 분리해 독립적인 인사시스템으로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말하는 '형사'는 계급이 아닌 수사경과를 가지고 수사부서에서 근무하면서 사건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의 호칭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찰의 계급별 성별 인원 구성비율은 어떻게 될까?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경찰관 100명이 사는 마을'이 있다고 가정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경찰관 100명이 사는 마을에는,

 

  순경이 34명 살고, 경장은 29명 살고 있으며, 경사는 20명, 경위는 10명 정도가 살고 있습니다. 경감은 5명 살고, 경정은 2명이 채 안 되며, 총경 이상은 0.5명 정도입니다.^^

 

  총경 이상(4급 이상)의 비율이 너무 적죠?^^

 

  참고로 일반직공무원 100명이 사는 마을에는 4급 이상(총경 이상)이 6명 정도나 된다고 합니다. 경찰의 12배나 많은 숫자네요. ㅠㅠ

 

  총경 이상뿐 아니라, 경찰의 경우 중간계급에 해당하는 경정, 경감(5~6급)의 구성비는 6.8%인데 비하여 국가일반직 경우는 35.7%, 지방일반직 경우 34.5%, 국세청 30.2, 병무청 29.6%, 관세청 34.9%입니다. 경찰관의 직급이 조금 더 상승돼야 할 필요가 있겠죠?^^

 

 

 

 

  경찰관 100명이 사는 마을에는

 

  여성경찰관이 7.6명 살고, 92명 이상은 남성경찰관입니다.

 

  경찰의 직무 특성상 여성의 비율이 낮긴 하지요?

 

  최근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대에 따른 여성경찰관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찰청은 매년 충원인력의 20% 이상을 여성경찰관으로 채용해 향후 전체인원의 10%가 될 때까지 여성경찰관의 비율을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그럼 경찰관이 사는 마을에 들어오려는 젊은이들은 얼마나 될까요?^^

 

  지난 4년간 경찰관 선발의 평균 경쟁률은 35.6:1이고, 특히 여경의 경쟁률이 77.9:1로 남성경찰관의 경쟁률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관이 사는 마을에는 공개채용인 경찰대학생, 경찰간부후보생, 일반순경 외에도 특별채용으로 사이버 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춘 사이버 수사요원이라든지, 전술분야의 전문적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경찰특공대, 다문화 사회를 대비한 다문화 경찰관 등 입직경로도 다양화하였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경찰 1인당 담당인구가 498명으로 선진국보다 조금 많은 수치입니다.

 

  ※ 독일 320명, 프랑스 347명, 미국 401명, 영국 403명, 일본 494명

 

  국정과제인 '경찰관 2만 명 증원'과 관련 향후 5년간 경찰관이 사는 마을의 문턱이 조금 낮아지고 넓어질 계획이니, 젊은 여러분들의 힘찬 도전을 기대합니다.^^

 

  경찰관의 계급을 통해 경찰조직의 모습을 잠시 살펴보았습니다.

 

  계급은 높고 낮은 것이 아니라,

 

  경찰관 각자의 임무에 대한 책임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계급이 높고 낮아서가 아닌

 

  대한민국 경찰관이어서 존경받고 사랑받는 그런 사회가 오기를

 

  경찰관의 한 사람으로서 꿈꿔봅니다.

 

  Police! Dreams come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