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중심 · 현장 중심
안전한 서울, 질서있는 서울
자세히보기

서울경찰이야기/서울경찰 치안활동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 그 이름이 궁금해!

서울경찰 2014. 5. 20. 10:10

 

 

 

 

친구와 우리 동네 파출소 앞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친구 말이 "야! 파출소가 뭐니? 지구대겠지!"하는 겁니다.

친구의 말이 맞는 것 같아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우리 동네 어귀에 있는 경찰관서의 이름은 정확히 '▽▽파출소'였습니다.

그래서 내가 친구에게 "지구대 아니거든" 했더니

자기네 동네에 있는 경찰관서의 이름은 '△△지구대'라는 겁니다.

'지구대' '파출소'는 다른 건가요?

 

  사람들이 헷갈리는 우리 동네 경찰관서의 이름을 지금부터 뉴스레터에서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의 경우, 경찰 업무를 총괄하는 경찰관서는 '서울지방경찰청'입니다.

  물론 상급기관으로 '경찰청'이 있습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종로구 내자동에 있고, 경찰청은 서대문구 미근동에 있습니다.

 

  필자가 가끔 택시를 타고 "서울경찰청이요." 하면

  "치안본부 말고 시경 말씀하시죠?"라고 말씀하시는 택시 기사분이 있습니다.

 

 

 

 

  '치안본부', '시경' 이건 또 뭐야???

 

  '치안본부'는 경찰청 전신입니다.

 

  1991년에 '경찰법'이 제정되면서 경찰청은 안전행정부 '치안본부'에서 독립청인 지금의 '경찰청'으로 불리게 됐습니다.

 

  '시경' 역시 서울지방경찰청의 전신인 '서울시 경찰국'의 줄임말로 불렸던 것입니다.

  * 경찰청 산하에는 서울지방경찰청을 포함 16개의 지방경찰청이 있습니다.

 

 

 

 

  서울지방경찰청에는 31개의 경찰서가 있습니다.

  서울시 산하에 25개 구청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각 경찰서에는 치안수요에 맞게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가 있습니다.

 

  이 비유가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요즘 DSLR 카메라가 인기고 DSLR 카메라의 다양하고 복잡한 렌즈의 이름을 네티즌들이

  쉽게 정리해 부르곤 합니다.

 

  '아빠백통', '엄마백통', '형아백통', '아기백통' 등으로 말입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하면 경찰서가 '아빠 폴리스'쯤 되고

  지구대는 '엄마 폴리스', 파출소는 '형아 폴리스', 치안센터는 '아기 폴리스' 정도 됩니다.^^

 

  이해가 쉽게 되시나요?^^

 

  서울경찰청은 '할배 폴리스'^^

  그럼 경찰청은…음...'고조 할배 폴리스'^^인가요!!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를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은 근무하는 경찰관의 숫자입니다.

 

  먼저 입에 착 붙고, 오랫동안 우리 머릿속에 있는 '파출소'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오래전부터 동네 '지서' 혹은 '파출소'로 불리던 작은 규모의 경찰관서인 파출소는 1995년부터 '파출소'라는 단일 이름으로 불리게 됐습니다.

 

 

 

 

  이곳은 서울의 가장 중심이자 서울관광의 메카 명동에 위치한 명동파출소입니다.

 

  지어진 지 45년 만인 지난 2010년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외벽은 명동 성당의 모습과도 흡사하게 붉은 벽돌로 치장됐고, 건물 꼭대기는 삼각형 모양의 지붕이 세련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명동파출소가 새롭게 단장된 이후 명동을 찾는 외국인이 파출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등 대한민국 경찰의 이미지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명동 파출소(소장 조세동 경감)의 경우 23명의 경찰관이 3교대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파출소는 경감 소장에 경찰관 20~30여 명이 3교대 혹은 4교대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명동 파출소에 근무하는 박인식 경위에 따르면, 명동파출소에는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이 자주 찾는다고 합니다. 외국인을 위한 분실물 접수업무도 많고, 명동 주변의 지리교시 등 명동파출소만의 독특한 근무여건 때문에 명동 파출소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틈틈이 외국어 공부를 한다고 하네요^^

 

 

 

 

  이곳은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반포 지구대입니다.

 

  경찰청은 부족한 지역경찰 인력으로 최대한의 치안성과를 내기 위해 2003년에 기존 파출소 2~5개를 묶어 운영하는 지구대 체제를 도입하였습니다.

 

  그러다 지난 2008~2010년에는 관할 면적이 넓은 농·어촌 지역의 지구대를 다시 파출소로 환원하는 것이 좋겠다는 여론에 지역경찰의 운영체계를 다양화했습니다.

 

  현재는 경찰서별로 지역 실정에 최적화된 지구대와 파출소 체제를 선택하여 운용하는 '지역경찰 운영체계 자율화'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반포지구대(대장 구충호 경정)는 60명의 경찰관이 4교대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지구대는 기존의 파출소보다 조금 많은 인원과 장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경정 지구대장을 기준으로 60여 명의 경찰관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파출소와 지구대는 내부가 비슷합니다.

 

  반포지구대의 경우, 주간에는 5명의 경찰관이, 그리고 야간에는 3명의 경찰관이 상주하면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112신고의 경우 하루 평균 70여 건을 접수하는 비교적 치안수요가 많은 지구대라고 합니다.

 

 

 

 

  사진의 치안센터는 '다산 치안센터'입니다.

 

  여러 개의 파출소가 지구대로 합쳐진 후 옛 파출소의 자리에 한명의 경찰관이 파견돼 경찰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한 곳입니다.

 

 

 

 

  다산 치안센터에 근무하는 강용아 경위입니다.

 

  강 경위는 내년에 정년을 앞둔 34년 경력의 베테랑 경찰관입니다.

 

  대부분 치안센터는 강 경위 같은 경륜과 연륜이 있는 경찰관이 근무합니다.

 

 

 

 

  치안센터는 경찰관 1인이 근무하는 곳이므로 외근 순찰 중인 경우 민원인을 위한 긴급전화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치안센터에 근무하는 경찰관은 주간근무만 하고 야간에는 지구대 경찰관들이 돌아가면서 경찰 초소 개념으로 근무합니다.

 

 


<코반과 치안센터 모습>

 

  일본에 가면 '코반(KOBAN)'이라는 작은 경찰관서가 있는데, 일본의 코반과 한국의 치안센터가 비슷한 모습입니다.

 

 

 

 

  이처럼 서울에는 현재 89개 지구대(4,651명), 147개 파출소(4,359명), 193개 치안센터(194명)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든 경찰은 112로 통한다.

 

  복잡한 경찰관서의 이름을 설명했는데 아직 잘 모르시겠다고요?

  모르셔도 됩니다. 경찰의 모든 치안 서비스는 112로 통합니다.

 

  서울의 모든 지구대와 파출소,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모든 지구대와 파출소, 치안센터는 112로 묶여 있습니다.

 

  112전화 한 통이면 지구대와 파출소는 물론이고 교통경찰관이나 형사기동대 차량까지 모든 경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라는 이름은 맞춤형 치안서비스를 위한 경찰의 노력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셨죠? 언제 어디서나 경찰관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상관없이 112를 눌러주세요!

 

 

  '아빠 폴리스', '엄마 폴리스', '형아 폴리스' 이 모두가 여러분의 진짜 가족이 되어 드리겠습니다.^^